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

[문화] 커뮤니케이션과 행위 사회체계란 사람들은 아닐지라도 어차피 행위들로 구성된다는 널리 확산된 견해를 따져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행위이론에 기초한 논거가 주도적인 견해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 논거는 주관적 출발점과 체계 이론적 출발점을 연계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같습니다. 사회적 행위란 베버에게는 사회적으로 지향된 의도를 통해 규정된 행위의 유형이나 행위의 특수사례입니다. 사회체계의 형성이란 파슨스에게는 바로 베버에 대한 파슨스의 시각에 따라 전혀 다른 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는 행위의 창발을 위해 분석적으로 배타 분화된 성분입니다. 이에 따르면 사회체계는 행위의 유형이나 행위의 한 측면에 기초하며, 행위를 거쳐서 이른바 주체는 체계 속으로 진입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를 통해 행위와 사회성 사이의 관계가 적절히 이해되.. 2022. 8. 10.
[문화] 콘셉트, 소구대상과 내용 문화기획이란 문화적 메시지를 언제, 어디서, 누가,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 어떤 인력을 얼마나 동원하며, 예산은 어떻게 조달하겠다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것입니다. 문화기획의 짜임새를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은 기획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과 더 나아가 그것들 사이의 관계와 수순입니다. 문화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그 항목들과 수순에는 차이가 있지만 공통으로 고려해야 할 항목은 콘셉트와 소구대상, 예산, 인력, 내용, 일정, 장소, 홍보마케팅, 사후 평가를 들 수 있습니다. 콘셉트의 설정 과정에서는 기획의 배경이 되는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상황에 대한 분석과 문화 콘텐츠의 동향 분석, 즉 트렌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합.. 2022. 8. 10.
[문화] 예술 경영 예술경영은 예술 행정이라고도 하는데 예술경영은 art management, 예술 행정은 art adminis-tration을 번역한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영은 기업의 운영을, 행정은 정부나 공공 분야의 운영을 지칭하는 의미로 흔히 쓰이지만, 예술경영과 예술 행정은 구분 없이 같은 의미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예술경영이라는 용어가 좀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예술경영은 1960년대 중반 이후 서구의 비영리 예술단체 운영에 경영학적 방법론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예술 경영적 행위나 예술경영인의 기능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기원전 534년경부터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에서는 국가 차원의 축제가 열렸습니다. 이러한 축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오늘날과 유사한.. 2022. 8. 2.
[문화] 저작권 지적재산권이란 지적 노동의 산물인 저작물에 대한 전반적인 권리를 지적 소유권 또는 지적재산권이라고 합니다. 지적재산권은 크게 사업 재산권과 저작권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의장권으로 구성되는 산업재산권은 특허, 디자인, 상표, 등의 아이디어 자체를 보호해줍니다. 그와 다르게 저작권은 아이디어나 사상, 감정 등이 표현된 것을 보호합니다. 또한 산업재산권은 특허청에 출원하여 등록해야만 권리가 발생하는 반면 저작권은 저작물의 창작과 동시에 발생하며 특정한 절차나 방식 등을 요구하지 않는 무방식 주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이란 문학, 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창작물인 저작물에 대한 배타적, 독점적 권리입니다. 그래서 저작물을 이용하는 사람은 반드시 권리자에게 사전 허가받.. 2022. 8. 2.